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192

[1316] 그룹 단어 체커 - Python 문풀 / sorted 문제 그룹 단어란 단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에 대해서, 각 문자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만을 말한다. 예를 들면, ccazzzzbb는 c, a, z, b가 모두 연속해서 나타나고, kin도 k, i, n이 연속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이지만, aabbbccb는 b가 떨어져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가 아니다. 단어 N개를 입력으로 받아 그룹 단어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 N이 들어온다. N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단어가 들어온다. 단어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되어있고 중복되지 않으며, 길이는 최대 100이다. 출력 첫째 줄에 그룹 단어의 개수를 출력한다. 문제 풀이 result = 0 for i in range(int.. 2022. 11. 4.
백준[1065번] 한수 문풀 - Python 문제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문제 풀이 n = int(input()) cnt = 0 for i in range(1, n+1): num_list = list(map(int, str(i))) if i < 100: cnt += 1 elif num_list[0]-num_list[1] == num_list[1]-num_list[2]: cnt +=.. 2022. 11. 3.
pandas 한글 폰트 적용 에러 해결하기/ 시각화 폰트 설정법 🙀 파이썬으로 시작하는 데이터 사이언스 '3.3 결측치 다루기'를 듣던 중 그래프를 그리는데 한글 폰트가 표시가 안된다. 여러 방법 시도하다 나눔 폰트를 설치하고 해결했는데 같이 해보자! - Google Colab 사용 ++ 이후 계속 한글 폰트 적용 에러를 겪은 점 (11.25 내용 추가) !pip install koreanize-matplotlib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koreanize_matplotlib 밑에 써놓은 직접 나눔 폰트를 설치하는 방법과 똑같이 나눔 폰트를 사용하는 방법. 위 코드가 한글 설정하는데 제일 간단한 코드이다. 참고 : https://github.com/ychoi-kr/koreanize-matplotlib 이렇게 설정하고도 데이.. 2022. 11. 3.
PEP 8 - Style Guide for Python Code 정리 / Python Code 일관성, 가독성 높이며 작성하기 💡 이 글은 PEP 8 – Python 코드용 스타일 가이드(https://peps.python.org/pep-0008/)를 보고 새롭게 안 사실을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영어를 한국어 번역을 사용해 문맥이 이상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만 하시고 실제로 원문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A Foolish Consistency is the Hobgoblin of Little Minds 본격적으로 문서를 읽기 전 쓰여 있는 말. ‘어리석은 일관성은 작은 마음의 홉고블린이다.’ 무슨 뜻인지 궁금해 찾아보았다. 에머슨의 인용문은 한 줄 이상으로 가장 잘 이해됩니다. “어리석은 일관성은 작은 정치가와 철학자와 신들이 숭배하는 작은 마음의 홉고블린입니다. 일관성이 있으면 위대한 영혼은 할 일이 없습니다. .. 2022. 11. 3.
백준[4673번] 셀프 넘버 문풀 - Python / set 문제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1, 114, 120, 123, 129, 141, ... n을 d(n)의 생성자라.. 2022. 11. 2.
백준[2438, 2439번] 별 찍기 - 1,2 문풀 (Python) 별 찍기 - 1 문제 첫째 줄에는 별 1개, 둘째 줄에는 별 2개, N번째 줄에는 별 N개를 찍는 문제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차례대로 별을 출력한다. 문제 풀이 별의 개수 n을 입력받고, 반복문 활용 + i를 1씩 증가시켜 *을 하나씩 늘려가며 찍어준다. n = int(input()) for i in range(n): i += 1 print("*" * i) 문제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2439 2438번: 별 찍기 - 1 첫째 줄에는 별 1개, 둘째 줄에는 별 2개, N번째 줄에는 별 N개를 찍는 문제 www.acmicpc.net 별 찍기 - 2 문제 첫째 줄에는 별 1개, 둘째 줄에는 별 2개, N.. 2022. 10. 25.